북한 미사일 문제를 논의하기 위해 올해만 10번째 열린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공개회의. <br /> <br />서방 이사국들은 돌아가며 북한의 미사일 발사를 규탄하고 도발 행위를 멈출 것을 촉구했습니다. <br /> <br />미국은 지금껏 안보리 회의가 빈손으로 끝난 건 중국과 러시아, 두 상임이사국이 비토권 행사를 남용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비판했습니다. <br /> <br />[린다 토마스-그린필드 / 주유엔 미국 대사 : 거부권을 행사하는 두 회원국이 북한을 돕고 더 대담하게 만들고 있기 때문에 안보리 회의에 성과가 없는 겁니다. 그들이 북한 정권의 최근 미사일 발사를 가능하게 만들었습니다.] <br /> <br />중국과 러시아는 이번에도 노골적으로 북한 편을 들었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주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을 만나 북한 도발을 막기 위한 역할을 당부한 뒤여서 중국의 태도 변화가 주목됐지만 전혀 달라지지 않았습니다. <br /> <br />[장쥔 / 주유엔 중국 대사 : 한반도의 비핵화 진전에 집중하는 것과 동시에 (미국의) 군사훈련을 멈추고 대북 제재를 완화하기 위한 실질적인 행동이 필요합니다.] <br /> <br />러시아는 한술 더 떠 미국이 아시아 태평양 지역의 경계선을 그어 군사적 대치 상황을 만들고 있다고 주장했습니다. <br /> <br />[안나 에브스티그니바 / 주유엔 러시아 부대사 : (아시아 태평양 지역에서) 미국과 영국, 호주 동맹과 같은 새로운 군사 블록이 형성되고 있어 그 의도가 의심됩니다.] <br /> <br />이해 당사국 자격으로 참석한 우리나라 황준국 주유엔 대사는 유엔 사무총장을 미국 꼭두각시라고 비난한 북한 외무상 성명은 유엔의 권위를 완전히 무시한다는 걸 보여준다고 지적했습니다. <br /> <br />또 안보리의 무대응과 분열을 이용해 북한이 핵무기를 개발하고 있다며 중국과 러시아 주장을 반박했습니다. <br /> <br />[황준국 / 주유엔 한국 대사 : 한미 연합훈련은 오랜 기간 이어온 정기적인 방어 훈련으로 북한의 불법적인 핵·미사일 개발의 핑계가 될 수 없습니다.] <br /> <br />이번에도 중국과 러시아의 엄호로 결의안은 논의조차 되지 못했고 한미일 등 14개 국가는 북한 탄도미사일 도발을 규탄하는 장외 성명을 발표하는데 그쳤습니다. <br /> <br />중국과 러시아의 비토권을 의식한 미국은 이번엔 제재 결의안보다 수위가 낮고 강제력이 없는 안보리 의장 성명을 제안해 채택 여부가 주목됩니다. <br /> <br />워싱턴에서 YTN 권준기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34_202211221510154495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